Study Room/Qualitative Research 36

2008_Robert K. Yin - Case Study Research: Design and Methods (사례연구방법 2011)

사례연구에 대한 논문을 읽다보면,너무나 자연스럽게 인용되는 것이 바로 Robert K. Yin의 Case study (2003) 이다. 1984년에 처음 나온 이 책은 계속해서 개정판을 내면서 현재 제 4판(2008)까지 나왔지만, 아직까지 가장 많이 인용되고 있는 것은 제 3판(2003)이다. 사례연구방법 국내도서저자 : ROBERT K.YIN / 신경식,서아영역출판 : 한경사 2011.09.30상세보기 이 책을 읽어보면 왜 가장 많이 인용되는지 알 수 있다.Robert K. Yin의 뛰어난 인지도도 있지만, 내용이 명확하게 정리되어 있어서 인용하기 너무 좋다. 이 전에 읽었던 질적인 연구 방법에 대한 책들은굉장히 사색적이고 두리뭉실하게 쓰여있는 경향이 매우 많았는데,Yin의 책은 굉장히 실용적이고 명..

[질적연구방법론] 제8장 실행연구(Action Research) - 김영천(2013)

액션 리서치라는 영어이름으로 더 잘 알려진 실행연구 방법은 이론보다는 실천을 통한 현장 개선에 관심을 가지는 연구 방법이다. 연구를 진행하는 과정에서 반성적인 실천이 이루어지고지속적인 자기순환 과정을 거치기 때문에 실천적인 분야에 종사하는 사람들에게 적합한 연구방식이다. 개인 수준의 문제를 해결하는 실천적 실행연구 뿐만아니라, 사회적 문제나 상호간의 평등을 중시하는 참여적이고 해방적인 실행연구에서도 적용될 수 있다. 진보적인 철학, 비판적 사고, 민주주의 실천, 해방적 사고, 인본주의, 구성주의, 복잡성 이론 등에 근거를 두고 있으며,최근에는 이론을 넘어서 전문성을 기르는 전 사회 영역에서 광범위하게 확산되고 있는 추세다. 액션리서치에 대한 연구는폴란드 출신의 유대인으로 독일에서 활동하다가 나치를 피해서..

[질적연구방법론] 제6장 자문화기술지(Auto-ethnography) - 김영천(2013)

문화기술지,생애사 연구,전기/평전,자서전/회고록,그리고 자문화기술지... 굉장히 유사한 패턴을 나타내면서도세부적으로 들어가면 엄격히 다른 유형으로 나타나는 연구방법들이다. 연구 대상, 그리고 저자의 시점에서 일단 차이를 나타내며,객관성과 주관성, 자기성찰적 성격과 형식의 엄격성 등에서 차이가 드러난다. 자문화기술지는 전통적인 문화기술지와는 다르게자신과 관련된 이야기를 하기 때문에 굉장히 주관적인 성격을 갖지만, 개인적 삶의 내러티브에 주목하는 생애사 연구에 비해서자문화기술지는 연구 참여자와 연구자 사이의 상호작용을 강조하는 경향이 있다. 자문화기술지는 자아를 표현하는 것에 대해서 지나치게 관대하기에기존 사회과학 연구자들로부터 비난을 받아왔지만 최근에는 국내에서도 많이 주목하고 있다고 한다. + 자문화기술..

[질적연구방법론] 제4장 생애사 연구(life history research) - 김영천(2013)

생애사 연구(life history research)는초기에는 단순히 한 개인의 성장을 문화적 맥락에서 살펴보는 것으로 이해되었으나오늘날에는 한 개인이 정신적으로 발전하는 과정과 성장을 통해 외적인 삶의 상태와 내적인 정신적 측면을 묘사하는 것으로 정의되고 있다. 저자의 취향인지,아니면 교육학 분야에서 생애사 연구가 중요하다고 생각해서인지,김영천 교수는 5장에서는 교육학분야의 생애사 연구에 대해서 추가로 설명을 해주고 있다. 질적연구방법론 2 - Methods 국내도서저자 : 김영천출판 : 피어슨(아카데미프레스) 2013.11.22상세보기 생애사는 개인이 자신의 시각으로 재구성한다는 특징이 있으며시간의 흐름에 따라서 삶에 대한 의미를 만들어가는 경향이 있다. 교육심리학자로 유명한 제롬 브루너(Jerome..

[질적연구방법론] 제3장 내러티브 탐구(Narrative inquiry) - 김영천(2013)

내러티브 연구(narrative research)라는 용어는매우 광범위한 의미로 사용되는 용어 중에 하나이다. 내러티브에 대한 연구는인간의 경험을 탐구하는 가장 오래된 연구방법이며 생활의 표현 방법이라고 할 수 있다. 심지어 Richardson은 "모든 연구는 어떤 측면에서 내러티브적이라고 할 수 있다" 라고까지 주장하고 있다. 실증주의 패러다임의 강조로 잠깐 학계에서 다소 밀려났다가,탈실증주의 연구가 주목을 받으면서 다시 주목을 받게 되었으며 이를 내러티브로의 전환(narrative turn)이라고 부른다. 내러티브 전환(narrative turn)이 발생한 가장 근본적인 원인은전통적인 실증주의가 객관적이고 합리적이라는 환상이 깨졌기 때문이다. 연구라는 것이 어느 정도는 주관적일 수밖에 없으며,현상에 ..

[질적연구방법론] 제2장 현상학적 질적 연구(phenomenological study) - 김영천(2013)

현상학적 연구 방법은 매우 매력적이다. 하지만, 혹자는 이게 무슨 과학적 연구냐며 비난할 수도 있다. 현상학적 연구방법에서는 인간의 체험을 있는 그대로 살펴보고,그 체험의 본질이 무엇인지 탐구해서 설명하는 것으로 굉장히 주관적이라는 느낌이 들 수 있다. 하지만, Van Maanen은 현상학적 질적연구는명시적이고 상호 주관적인 연구방법이기에 현상에 대한 인간과학적 연구라고 설명한다. MIT대학의 교수인 John Van Maanen은 이 분야에 대가로 손꼽힌다.(MIT하면 왠지 양적 연구만 할 듯한데, 질적 연구의 대가가 여기 있다니 참 놀랍다.) 그는 경찰관, 어부, 디즈니랜드 운영자, 런던 탐정 등에 대한 연구로 명성을 얻었으며,그가 쓴 은 이쪽 분야에서는 완전 고전이 되었다. Van Maanen은 현상..

[질적연구방법론] 제1장 문화기술지(ethnography) - 김영천(2013)

석사논문을 질적연구방법으로 쓰기로 했더니...생각보다 질적연구방법이라는 것이 단순한 녀석이 아니라는 것을 다시 깨닫는다. 연구 방법도 매우 다양한데, 그 경계도 굉장히 모호한 구석이 있다. 참여관찰을 했다고 해서 그것으로 끝나는 것도 아니며,참여관찰한 내용을 정리하는 방법도 매우 다양하고 기술하는 것도 테크닉이 필요했다. 그마나 근거이론은 방법론적으로 좀 명확한 구석이 있었으나,사례분석과 내러티브분석, 내러티브 분석 중에서도 다양한 방법들의 차이는좀처럼 명확하게 떨어지지 않는 면이 분명이 존재하는 듯하다... 어쩔 수 없이 방법론을 다시 공부한다는 맘으로국내 교수가 정리한 책을 쭉~~ 훌터보다가 가장 깔끔하게 정리되어 보이는 책을 골라잡았다.(내가 전문가는 아니기에 최고의 책이라고 감히 말할 수는 없을 ..

[참여관찰사례] 서울역 거리노숙인 - 경희대 지리학과 김준호

며칠 전, 철학자 강신주가'노숙자들은 자존심이 없다'라고 언급했던 내용이 SNS에서 몰매를 맞았다. 갑자기 궁금해졌다.진짜 노숙자들은 자존심이 없을까? 이 때 강신주의 발언에 광분했던 지인으로부터굉장히 흥미로운 기사 하나를 공유받게 되었다. 경희대 지리학과 석사과정 학생이 석사논문을 쓰기 위해서3개월간 서울역에서 노숙인 생활을 했다는 것이다. 나는 노숙인을 보았다. (한겨례21 2010년 9월 10일) 기사내용은 흥미로웠고, 바로 원문인 석사논문을 찾아볼 수 밖에 없었다. 거리노숙인이 생산하는 '차이의 공간'에 대한 연구 < 석사 논문 원문 보기 사회복지학과가 아닌 지리학도의 눈으로 노숙인을 봤다는 점도 흥미로웠지만,국내에서 이렇게 참여관찰을 통해서 스스로 노숙인이 되어 석사 논문을 쓴 사례는 처음 봤기..

[Grounded Theory ⑪] Strauss와 Glaser의 근거이론방법론 비교 (최귀순, 2005)

근거이론에 대한 연재를 끝내려 했으나.매우 흥미로운 논문을 발견하여 마지막으로 연재하고 마무리 해야겠다. 근거이론이 본격적으로 세상에 알려진 것은Strauss와 Glaser(1967)이 쓴 책이라는 점은 이미 이전 포스트에서 이야기했던 부분이다. [Grounded Theory ①] 근거이론의 단계_Anselm Strauss & Juliet Corbin (1998) 근데, 흥미로운 것은가장 대중적으로 잘 알려진Basics of Qualitative Research (Strauss & Corbin, 1990)가 출간된 이 후에, Glaser도 두 권을 책을 따로 냈다는 점이다.Basics of Grounded Theory Analysis (Glaser, 1992) Doing Grounded Theory: I..

[Grounded Theory ⑩] 이론적 표본추출(theoretical sampling)_Anselm Strauss & Juliet Corbin (1998)

이론적 표본추출(theoretical sampling)방법은통계적 표본추출 방식과는 확실히 다른 측면이 있다. 통계적 표본추출에 대한 설명 확인하기 < 클릭 가장 큰 차이점은 통계적 표본추출에서는모집단을 전수조사할 수 없기 때문에 샘플을 추출하고 연구를 진행하기에표본의 수가 중간에 오류가 발생해서 다소 줄기는 하지만 그대로 유지되는 반면, 이론적 표본추출은 연구를 시작하기 전에 계획한대로 진행되기 어려우며,오히려 연구를 진행하면서 표본을 결정하기도 하고 중간에 추가하고 빼기도 한다. 표본을 결정하는 이유나 방법도 너무나 천차 만별이여서,말 그대로, '표본~~ 어떻게 될지 모른다'라는 것이 정확한 표현이다. 물론 연구할 현장이나 집단은 사전에 정해야하고,사용될 자료의 유형이나 대략적인 연구 방법은 정해두어..