맹자의 성선설과 순자의 성악설을 이론적으로 대조하기도 하고,
어쩔 때는 동양 사상과 서양 사상의 차이로써 구분해서 이야기하는 사람도 있다.
(루소와 홉스의 차이로 설명하기도 하는 것을 보면, 동양과 서양의 차이로 이야기하는 것은 다소 좀...)
반면, 아리스토텔레스와 공자의 주장을 끌어와서,
인간의 본성은 원래 선한것도 악한 것도 아니며 평가할 수 있는 대상 자체가 아니라고 비판하는 사람도 있다.
개인적으로는
'인간의 속성을 어떻게 규정할 수가 있는가?'라는 생각을 가지고 있기에...
둘 다 너무 표면적인 부분만 설명한다고 생각하고 있었는데...
김시천 교수의 지적은 너무나 신선한 접근이였다.
[03/20pm] 성선설은 정치 구호였다 < 원문 방송 듣기 (시사통)
김시천 교수의 주장은 맹자가 왜 성선설을 이야기했는지...
그 맥락을 중심으로 그의 주장을 살펴볼 필요가 있다는 것이다...
공자왈 맹자왈 암기식의 접근에서...
이렇게 역사적 맥락을 통해서 이해하게 되니 동양철학이 전혀 다르게 보였다.
진짜 맥락에 대한 이해가 없는 암기식 교육의 전형적이 폐해일뿐만 아니라...
지식이 제대로 전달되지 않을 때 어떻게 왜곡될 수 있는지를 실감할 수 있는 강의 내용이였다.
+
맹자가 주로 이야기한 것에는
왕도 정치, 4단, 성선설, 민본사상 등이 있다.
공자보다 100년 정도 뒤에 태어났던 맹자 역시
현실적으로는 군주의 부르심을 받아서 재상의 자리에 오르고자 하였다.
특이한 점은 맹자는 잘 나가는 나라의 왕들만 만났다는 사실이다.
맹자가 주로 만났던 위나라의 양혜왕과
제나라의 선왕은 당시 전성기를 누리던 제왕들이였고,
맹자는 이들을 만나서 덕을 중시하는 왕도정치를 실시할 것을 제안한다.
사람들은 왕도정치를 이상적인 정치라고 설명하고 있지만,
사실 맹자가 이야기한 왕도정치는 할 수 있는데 하지 않는 것을 실천하라는 것이였다.
맹자는 할 수 없는 것(불능)과 하지 않는 것(불이)를 구분했는데,
인간의 마음인 4단을 따라서 선한 마음으로 할 수 있는 것을 하라는 것이 가르침의 핵심이였다.
그렇기 때문에, 왕도정치를 실행하기 위해서는
능력이 출중하여 기본적으로 할 수 있는 것이 많아야했고,
맹자는 작은 국가의 왕을 만나봤자 현실 불가능한 이야기일 뿐이였던 것이다.
그렇기 때문에 맹자는 행동으로 옮길 수 있도록,
자연스럽게 남을 돕는 불인지심(不忍之心)을 강조할 수 밖에 없었고, 이를 4단의 감정으로 설명하였다.
- 측은지심(惻隱之心) : 어려움에 처한 사람을 애처롭게 여기는 마음
- 수오지심(羞惡之心) : 나쁜것을 멀리 하려는 마음
- 사양지심(辭讓之心) : 남을 배려하여 양보하는 마음
- 시비지심(是非之心) : 옳고 그름을 판단할 줄 아는 마음
맹자에게는 인간의 마음이 착하냐, 아니냐의 문제가 아니라,
군주가 착한 마음이 있다면, 그것을 정책으로 펼칠 수 있는 것이 중요했던 것이다.
성선설이라는 것은 엄밀히 이야기하면,
정책을 입안하는 근본적인 원리였으며 4단의 감정을 따르는 행동의 원칙이였던 것이다.
굉장히 흥미로운 접근이다.
성선설이라는 개념이 철학이기 보다는 굉장히 실천을 강조하는 원리였다는 설명이다.
이미 인간이라면 4단이라는 마음을 갖고 있으며 그것을 실천하는 것이 자연스러운 것이다.
(사실 어떻게 보면 선과 악을 이분법적으로 구분하는 것 자체가 굉장히 서구적인 관점이다.)
맹자는 오히려 4단이라는 마음을 가지고 있는데,
이것이 발현되는 것은 그 사람을 둘러싼 환경(집안과 국가 등)이 매우 중요하다고 보았다.
마음이 어떻게 쓰여지느냐에 따라서,
자신의 본성을 발현시킬 수 있는 조건이 제공되느냐 아니냐가 달려있는 것이다.
+
맹자라는 인물 또한 매우 흥미롭다.
조선 건국의 일등공신 정도전이 항상 들고 다녔던 책이 바로 <맹자>였으며,
정도전은 맹자를 통해 역성혁명을 꿈꾸게 되는데 이 맹자를 건내준 사람이 바로 고려의 충신 정몽주이다.
그 만큼 <맹자>라는 책은 매우 실천적인 측면을 강조하고 있으며,
왕도정치, 민본사상, 성선설 등의 내용 자체가 당시에는 매우 혁신적인 내용이였던 것이다.
왕도 잘못하면 갈아 치울 수 있다고 주장하였으며,
백성을 착취하는 왕과 관료들은 도둑놈이라는 말을 서슴없이 날렸던 사람이 바로 맹자이다.
그럼에도 불구하고, 맹자는 군주들에게 인기가 좋았다고 한다.
공자의 후손이라는 기록도 있지만, 정작 맹자 본인은 혼자서 공부했다고 주장한다.
공자와 맹자를 세트로 묶어서 이야기하는 사람도 많지만,
실질적으로 학통으로 보면 정통적으로 공자를 계승했다고 이야기하기에는 어렵다고 한다.
하지만, 당대 최고의 군주들만을 상대할 정도로 인기가 좋았던 맹자는
공자가 살아 생전에 아무도 안불러줘서 우울했던 것에 비하면 굉장히 출세한 인물이다.
그럼에도 불구하고 나름 인기가 있어서 불러주었던 맹자지만,
정작 맹자가 주장한 인치에 대해서는 별로 인기가 없었으며 왕도정치는 실행되지 못했다.
(심지어 후대 사람들은 맹자의 주장들을 이상적인 주장이라고 이야기했다.)
맹자입장에서는 굉장히 억울할 듯하다.
그냥 할 수 있는 데 안하고 있는 것을 하라는 것 뿐인데,
그걸 가지고 너무 이상적이라고 이야기하고 있으니 화가 날만도 한 것이다.
하지만, 현실 정치를 보면 또한 그렇지도 않다.
김시천 교수는 4대강 사업을 예로 들면서,
몇 백 조씩 낭비하고 있으면서 비관해서 굶어죽는 사람들은 방치하고 있는 것을
맹자가 보았으면 뭐라고 했을지 반문하고 있다.
당장 할 수 있는 일들, 너무나 시급한 일들이 너무 많은데,
왜 쓸데없이 엉뚱한 것에 눈이 멀어서 모든 예산과 에너지를 쏟아붇는지...
하지 못하는 것인지, 하지 않는 것인지...
맹자가 이야기한대로 측은지심을 가지고 정책 예산을 편성한다면 어떤 일이 발생할 것인가?
분명히 전략적이지 못하고, 이상적이라고 비난한 것이다.
근데, 결과로 보면 차라리 이상적인 것이라도 실천해보는 것이 더 나아보인다.
이게 바로 대한민국의 현실인 것이다...
맹자의 왕도정치는 어찌보면 이상적인 것이 아니였다.
그냥 상식적인 수준에서,
인간에 대한 기본적인 마음을 가지고 '할 수 있는데 안하고 있는 것'을 하는 것이였다.
'Pot cast > [생각통] 김시천' 카테고리의 다른 글
[시사통] 동양철학으로 세상을 보다 ⑤ - 묵자와 예수는 쌍둥이였다 (김시천 경희대 연구교수) (0) | 2015.09.20 |
---|---|
[시사통] 동양철학으로 세상을 보다 ③ - '용(用)'의 역설과 피로사회 (김시천 경희대 연구교수) (0) | 2014.05.14 |
[시사통] 동양철학으로 세상을 보다 ② - 우울증과 공자 (김시천 경희대 연구교수) (0) | 2014.05.08 |
[시사통] 동양철학으로 세상을 보다 ① - 고전에서 우리는 무엇을 얻을 수 있는가? (김시천 경희대 연구교수) (1) | 2014.05.06 |