Study Room 108

1974 Conflict Management Model (by Kenneth W. Thomas & Ralph H. Kilman)

국가에서 만든 동영상 강의에는 훌륭한 자료들이 은근 많다. 의무 교육이다보니 제대로 안보고 대충 시간 때우는 경우가 많은데, 고용보험에서 만든 갈등 관리 강의는 생각해볼 내용들이 잘 정리되어 있다. 구직자들을 위해서 훌륭한 강의를 만들어놓은 듯하여, 세금이 아깝지 않군. 수많은 갈등상황을 직면하다보니 다 내 얘기로 많이 들렸다. 과연 나는 어떻게 갈등에 대처했고, 관계를 회복해나갔는가? 갈등 'Conflict'는 라틴어 'confligere'에서 온 말로, ‘상대가 서로 맞선다’라는 뜻을 가진다. 갈등 상황은 불안하기에 부정적인 느낌이 많이 들지만, 서로 맞서는 과정에서 새로운 것이 탄생한다. 서로 맞서는 상황은 불안정한 상황이고 갈등을 협력적으로 해결하지 못할 경우 서로 부러지거나 한쪽이 외면하게 되지..

2020 디지털 시대에 요구되는 리더십 스킬 (Identifying Leadership Skills Required in the Digital Age)

쿠퍼실리테이션에서 진행한 이브닝 세션에 놀러갔다가 알게된 논문이다. https://www.econstor.eu/bitstream/10419/216576/1/cesifo1_wp8180.pdf Klus, Milan Frederik; Müller, Julia (2020) : Identifying Leadership Skills Required in the Digital Age, CESifo Working Paper, No. 8180, Center for Economic Studies and ifo Institute (CESifo), Munich 아직 학술지에 게재되지 않은 워킹페이퍼지만, COVID-19시대에 어울리는 주제이다. (물론 연구를 시작한 것은 코비드19가 확산되기 이전으로 보인다) 암튼 오랫만에..

사회연결망분석 (Social Network Analysis)

우리는 자신도 모르는 사이에 수많은 사회연결망에 연결되어있다.혈연, 지연, 학연, 업력, 종교 등 서로 다른 수많은 연결망을 그려볼 수 있다. 이미 세상은 6단계만 건너면 누구나 연결될 수 있는 small world로 연결되어버렸고,인터넷이라는 거대한 연결망은 그 거리와 속도를 엄청나게 단축시키고 범위를 확장시켜버렸다. 나와 관련된 연결망을 그려보는 것은 매우 흥미로운 일이다.당장 SNS에 등록된 친구들만 가지고도 거대한 연결망을 그려볼 수 있을 것같다. 하지만, 막상 사회연결망을 그려보려고 하면 뭔가 막막하다.나와 다른 사람들과의 관계는 쉽게 그릴 수 있는데 다른 사람과 다른 사람의 관계는 어떻게 그리지? 여기서부터 막막해지기 시작하면서 고민되기 시작한다.사회연결망 분석이 굉장히 매력적으로 보이면서도 ..

[Organizations and Organizing] Ch 03. Organizations as Natural Systems (2007)

Scott이 제시한 2번째 관점은 Natural Systems이다. Rational Systems가 합리성이라는 관점을 기반으로해서조직을 특수한 목적을 위해서 공식적인 구조를 가진 시스템으로 보았다면, Natural Systems의 관점에서의 조직은복잡한 목적을 가진 비공식적인 구조를 가진 시스템이라고 할 수 있다. Natural Systems의 관점은 1960년대 이후 조직에 대한 지배적인 관점에 대항해서 부각된 것으로 조직 내의 참여자들이 가지는 행동에 주목하여 조직의 생존이 구조보다는 참여자에 달려있다고 보았다. 이들이 공식적인 조직을 부인하는 것은 아니지만, 비공식적인 구조와 비공식적인 권위 등에 더 주목하면서 조직 내의 개개인을 고용된 일손이 아니라 감정과 능력, 가치 등을 명확히 있는 머리와 ..

[Organizations and Organizing] Ch 02. Organizations as Rational systems (2007)

Scott은 조직을 3가지 시스템 유형으로 구분하고 각각의 유형에 대해서 설명한 다음,조직과 관련된 특정 이슈들에 대해서 좀 더 자세히 설명하는 형식으로 책을 구성해놓았다. 시간이 된다면, 뒷부분까지 읽어보겠지만 아무래도 대부분의 사람들이 앞부분만 읽어 볼 듯...(원서니까~ 어쩔 수 없지~~ 이러면서 나름 합리화시켜봄...) Organizations and Organizing: Rational, Natural and Open Systems Perspectives (Paperback)외국도서저자 : W. Richard Scott,Gerald F. Davis출판 : Pearson 2013.11.01상세보기 Scott은 목적의 특수성과 정형화라는 2가지 틀을 가지고,Rational Systems과 Natua..

[Organizations and Organizing] Ch 01. The Subject is Organizations; The Verb is Organizing

조직이론에 대한 교과서는 매우 다양하다. 특히, 조직이론 자체가 왠만한 사회과학 분야에 모두 걸쳐있기에 저자의 전공분야가 무엇이냐에 따라서 주로 다루는 이슈나 관점이 다른 경우도 많다. 그리고 조직이론 교과서에 등장하는 인물들도 사회학, 정치학, 심리학, 행정학, 경영학을 넘나드는 인물들이 많이 등장한다. 그래서 다른 전공의 비슷한 수업을 들어보면 같은 듯 다른 이론이나 학자들이 수시로 등장한다. 특히 경영학의 경우에는 학문의 길이도 다른 학문보다 좀 짧은 편이고, 경영학 내에도 다른 많은 영역들이 존재하기에 다른 학문에 비해서 상대적으로 취급을 못받는 경향이 있다. (깊이가 부족하다는 말은 함부로 할 수 없다) 암튼, 국내 경영학과에서는 조직이론과 관련해서는 김인수 교수의 과 Richad Daft의 를..

2014 이남인 - 현상학과 질적연구

현상학과 질적연구국내도서저자 : 이남인출판 : 한길사 2014.02.17상세보기 "사태 자체로 돌아가라" (Edmund Husserl) 이남인 교수는 많은 비용이 들어가는 양적 연구가 중요한 의미를 갖지 못하는 경우를 보면서,현상학적 질적 연구 방법에 관심을 가지게 되었다. 하지만, 현상학적 질적 연구는 무수히 다양한 방식으로 설계될 수 있기 때문에이에 대한 방법을 구체적으로 설명하는 것은 사실상 불가능하며 필요하지도 않다. 그래서 그런지 현상학적 연구에 대한 제대로 정리된 국내 도서는 존재하지 않았고,이 분야에서 나름 활발하게 연구를 해오시던 이남인 교수를 이를 정리하는 책을 출간한다. 책의 내용은 현상학적인 연구 방법에 대해서현대적 의미로 분석한 반 캄, 지오르지, 콜레지, 반 매넌 등의 연구 방법을..

2006 Kathy Charmaz - Constructing Grounded Theory (근거이론의 구성 / 2013)

근거이론의 구성국내도서저자 : Kathy Charmaz / 박현선,이채원,이상균역출판 : 학지사 2013.07.30상세보기 근거에 대한 3번째 책이다. 근거 이론의 한 획을 그은 책 2권을 먼저 읽고 각각 읽고 나니이 책에서는 그 동안의 흐름을 쫙~ 잘 정리해주는 느낌을 받을 수 있었다.이미 근거이론에 대한 책을 2권 읽었음에도 또 다시 읽을 수 밖에 없었던 이유이다 1967 Barney G. Glaser & Anselm L. Strauss - The discovery of Grounded theory (근거이론의 발견 2011)[Grounded Theory ①] 근거이론의 단계_Anselm Strauss & Juliet Corbin (1998) Charmaz는 Corbin, Clarke, Stern 등..

1967 Barney G. Glaser & Anselm L. Strauss - The discovery of Grounded theory (근거이론의 발견 2011)

근거 이론의 발견 국내도서저자 : Barney G. Glaser,Anselm L. Strauss / 이병식,박상욱,김사훈역출판 : 학지사 2011.08.30상세보기 근거이론의 방법론은 다른 질적방법론들과는 다르게,창시자가 명확하게 존재한다는 특징이 있다. 컬럼비아 대학에서 공부한 Barney G. Glaser 시카고 대학에서 공부한 Anselm L. Strauss 이 둘은 샌프란시스코에 위치한 캘리포니아 주립대학교에서 근무하면서,병원에서 죽음을 앞둔 환자들이 죽음에 대해 어떠한 관점을 가지는 대한 관찰을 통해라는 제목의 연구 결과물을 내놓는다. 이들은 오랜 기간 동안 대화를 통해 분석 아이디어를 탐색했고,현장에서 관찰한 것을 분석한 예비 노트를 교환하면서 체계적인 연구방법론을 개발했다. 그 결과물이 바로..