strategy safari 13

[Strategy Safari] 12장 전략 사파리 (당신은 무엇을 보았는가?) - Henry Mintzberg (2005)

마지막 12장은 앞의 내용들을 잘 정리해주는 장이다. 책에 나와있는 깔끔하게 정리된 표만 제대로 이해해도이책의 내용을 완벽하게 이해했다고 할 수 있을 정도로 잘 정리되어있다. 추가적으로 각학파의 순서에 따른 배열과학파들의 분열을 그림으로 그려줌으로써 그 관계성을 잘 이해하도록 해주고 있다. 어떤 내용인지 궁금하신 분을 책을 직접 확인해보시길... 마지막 민츠버그가 던지는 화두는 "좋은 전략이란 과연 무엇인가?"이다.얼마나 복잡해야하고, 잘 통합되야하고, 새로워야만 하는가? 결론적으로 이야기하는 부분은 10개의 흐름 모두는 서로를 보완해주고 있다는 것이다.그렇기 때문에 부분을 넘어서 전체로써 접근하는 것이 가장 좋다는 것이다. 이게 바로 장님이 코끼리를 알 수 없다는 화두로 책을 시작한 이유이다. 각 학파..

[Strategy Safari] 11장 구성학파(변신 프로세스) - Henry Mintzberg (2005)

구성학파의 연구 흐름은기존의 모든 연구들을 모두 활용해 조직의 상태, 모델, 이상형을 규정한 후이를 병합하여 조직의 각기 다른 특성들을 상보적인 방식으로 구성함으로써 효과적으로 기능하도록 만든다. 1970년대 초 캐나다 맥길 대학에 Pradip Khandwalla가 합류하면서 시작된 이 흐름은 민츠버그에 의해서 꽃을 피게 된다. 민츠버그는 조직을 구조와 권력 관계에 의거해 범주화하였으며,전략 수립의 4가지 프로세스(비전수립, 벤처링, 플래닝, 학습)와 이에 따른 여러 조직들의 전략을 연구하였다. 흥미로운 점은 맥길대학에서는 1971년 부터 다양한 조직들의 전략을 추적해서공동의 시간 척도에 따라 다양한 전략들을 나란히 배열해 역사적인 접근법으로 정리해두었다는 사실이다. 이러한 자료를 해서 전략은 개발/안정..

[Strategy Safari] 10장 환경학파(반응 프로세스) - Henry Mintzberg (2005)

환경학파의 내용을 읽으면서 가장 흥미로왔던 점은조직 이론쪽에서는 최근에 가장 각광받고 있다고 할 수 있는조직 생태학 분야와 신제도이론적인 접근들이 여기서는 찬밥신세라는 점이다. 조직 이론의 상당 부분들은 전략 분야와 연결이 된다.전략 자체가 경영학의 모든 분야를 섭렵하기에 수많은 조직 이론가들이 이름이 등장하는 것은 당연한 일이다. 근데, 인지학파, 학습학파, 권력학파가 새롭게 조명받는 것에 비해서환경학파에 해당하는 조직 이론들은 이쪽 분야에서는 비중이 확~ 떨어진다.(심지어 민츠버그는 전략경영 경계 밖에 있는 것으로 간주해야한다고 설명하고 있다.) 가장 큰 이유는환경이라는 차원 자체가 너무나 추상적이고 애매한 것 뿐만 아니라전략경영이라는 분야의 특성상 선택과 실천이라는 부분과 이어져야 하기 때문이다. ..

[Strategy Safari] 9장 문화학파(집단 프로세스) - Henry Mintzberg (2005)

사람들은 흔히 어떤 회사의 특별한 사례를 이야기할 때'그것은 그 회사만의 독특한 조직 문화'라는 표현을 많이 사용한다. 개인적으로도 난 조직 문화가 굉장히 중요하다고 생각한다. 외부에서 분석하기에는 어떻게 느낄지 모르지만,그 조직문화라는 것인 얼마나 거대하게 작용하는지 안에 있는 사람은 피부로 느끼기 마련이다. 하지만, 학문적으로 조직문화를 논한다는 것은어찌보면 가장 모호하고 가장 무책임한 분석 결과이다. 조직문화라는 것 자체가 그대로 다른 곳에 이식할 수 없는 것이기에,애매모호한 그 것을 설명하는 것도 어려울 뿐만 아니라 분석 결과를 다른 곳에 써먹지 못하기 때문이다. 하지만, 그 애매모호한 것을 명확하게 설명하고,그것이 다른 조직에서도 나타날 수 있는 현상으로 일반화하여 설명할 수 있을 때 그 결과물..

[Strategy Safari] 8장 권력학파(협상 프로세스) - Henry Mintzberg (2005)

권력학파는전략 수립을 적극적이고 분명한 영향 프로세스로 보고, 특정 이익집단에 유리한 전략을 협상하기 위한 권력과 정치의 이용을 강조한다. 여기서 이야기하는 정치란순수한 경제적 방식이 아닌 다른 방식으로 권력을 이용하는 일을 의미하는데,권력학파는 포지셔닝학파와 상당히 유사하면서도 정 반대편에 위치하고 있다고 설명한다.(포시셔닝학파처럼 본원적 전략이 존재한다고 보지만, 그 전략의 성격은 정반대이다.) 권력의 문제는 두 가지로 구분해서 볼 수 있는데,비합법 권력과 합법 권력의 정치 행동을 다루는 미시 권력과조직의 권력 사용에 관심을 갖는 거시 권력의 문제로 나눠서 접근한다. 조직 이론에서도 비슷한 이야기가 나오는데,정치나 권력이라는 단어가 들어가면 왠지 사람들은 혐오감을 표시한다. 그래서, 경영학에서는 크게..

[Strategy Safari] 7장 학습학파(창발적 프로세스) - Henry Mintzberg (2005)

"전략 경영은 이제 단순한 변화 경영이 아니라 변화에 의한 경영이다” (Lapierre, 1980) 이는 학습학파(Learning school)의 인식을 가장 잘 설명해주는 주장이다. 학습학파의 견해는 조직이론쪽에서도 굉장히 중요하게 여기는 견해이며,개인적으로 가장 관심이 많은 분야이기도 하다. 근데, 그 기원이 된 연구에 대해서는솔직히 이번에 민츠버그의 책을 읽으면서 처음 알게 되었다. The Science of Muddling Through (Charles Lindblom, 1959) 린드블롬 역시 사이먼처럼정부의 정책 결정이 깔끔하고 통제된 프로세스가 아니라는 점에 착안했고,그 과정 자체가 너무나 어수선한 프로세스라는 점에 주목하였다. 하지만, 린드블룸은 연구는 이 정도에서 마무리된 듯하고,본격적으..

[Strategy Safari] 6장 인지학파(정신 프로세스) - Henry Mintzberg (2005)

인지학파로 넘어오면서부터는특정 인물을 중심으로 연구 흐름을 설명하는 것이 쉽지 않아진다. 내용도 복잡해지고, 연구자들과 그 흐름도 좀 다양해지기 때문에,내가 얼마나 내용을 정확히 잘 정리할지도 조금 부담이 되는 것도 사실이다.(그래도 꿋꿋히 책의 내용을 중심으로 한 번 정리해보려고 한다.) 인지학파가 가장 관심을 가지고 있는 부분은경영자의 마음속에서 도대체 무슨 일이 일어나는지에 대한 부분이다. 이전의 연구들은 대부분 경영자의 마음 속이라는 영역을흔히 Black Box라는 표현을 사용해, 미지의 영역으로 놔두었다. 하지만, 인지학파는 이 주관적인 영역에 손을 대기 시작했고,이러한 연구 흐름은 학습, 문화, 권력, 환경학파라는 연구가 가능해지는 인식의 전환을 이루어냈다. 누가 뭐라고 해도 이 분야에 가장 ..

[Strategy Safari] 5장 기업가학파(비저너리 프로세스) - Henry Mintzberg (2005)

기업가 학파는 최근 유행하는기업가 정신(Entrepreneurship)이라는 용어와 관련된다. 사회적기업 열풍이 불면서창업과 관련해 기업가 정신이라는 용어도 일반인들에게 많이 친숙하게 되었는데,기업가 정신(Entrepreneurship)에 대해서는 창업가 정신이라고 해야한다는 이야기도 있다.(개인적으로는 창업가 정신이라는 번역이 오히려 더 오해의 소지가 있다는 느낌도 있다.) 기업가 정신은 외부 환경에 민감하게 반응하고 기회를 찾아서혁신적인 사고를 통해 시장에 새로운 가치를 창출하는 활동을 의미한다. 기업가 학파 역시 이렇기에 철저히 리더의 역할에 주목하게 되는데,디자인 학파가 개념적 프레임워크를 통해서 전략을 수립하는 리더십의 역할을 강조했다면,기업가 학파는 반대로 리더의 직관과 지혜, 경험, 통찰에 ..

[Strategy Safari] 4장 포지셔닝학파(분석적 프로세스) - Henry Mintzberg (2005)

포지셔닝 학파, 아니 전략경영 전체를 통틀어서가장 많이 이름이 등장하는 사람은 누가 뭐라해도 마이클 포터(Michael Porter)이다. 어떤 이들은 그를 전략 경영의 창시자라고 하고,어떤 이들은 그의 주장이 일관성이나 근거가 부족하다고 한다. 하지만, 그는 강연 한 번에 1억씩 받을 정도로 최고 중의 최고로 인정받고 있고최근에는 CSV(Create Shared value)라는 개념을 들고나와서 다시 한 번 전성기를 맞이하고 있다. 심지어 마이클 포터는 대한민국의 자문위원으로도 위촉되었다.2008년 이명박 정부는 대통령 국제자문단을 구성해서 운영했는데,마이클 포터, 빌 게이츠, 기 소르망, 클라우스 슈밥 등이 포함되었다고 발표하였다. 근데, 이런 사람들을 모아놔봤자... 별 소용이 없는 것인가?암튼 이..

[Strategy Safari] 3장 플래닝학파(공식 프로세스) - Henry Mintzberg (2005)

플래닝학파의 가장 큰 특징은1970년대 수 천개의 논문이 발표될 정도로 인기를 끌다가,1980년대 들어서 한 방에 훅~~ 가버렸다는 것이다. 플래닝학파의 시작에 대해서는Igor Ansoff (1965)의 Corporate Strategy 에서 출발했다고 이야기한다. Product and Market Growth Matrix 로 유명한 이 책의 내용은기업 성장 전략을 제품에서 찾을 것이냐 시장에서 찾을 것이냐의 이슈를 던진다.(사실 플래닝학파뿐만 아니라 기업 전략 분야의 출발이라고 보는 사람들도 있다.) 플래닝학파가 영향을 받은 부분은 이렇게 전략을 나누는 것에서 끝난 것이 아니라,계획적으로 단계를 나눠서 시장이나 제품의 성장을 실제적으로 어떻게 활용하냐 하는 부분이다. 대부분의 플래닝학파들은 SWOT을 ..