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
3장과 4장의 내용은 본격적인 연구 진행에 앞서 고려해야하는 내용을 다룬다.
1) 질적방법을 사용할 것인가? 양적 방법을 사용할 것인가?
2) 연구 문제를 선택하고 연구 질문을 서술하는 방법
3) 객관성과 민감성 사이의 균형을 유지하기
4) 문헌을 사용하는 방법과 목적
우선 방법론에 대해서는 방법은 도구일 뿐이며,
이론화 과정에서 가장 적합한 방법을 적절하게 사용하라는 것이다.
질적 방법과 양적 방법을 필요에 따라서 혼용해서 사용하는 것도 좋은 방법이라는 것이다.
연구 질문에 대해서도
처음부터 너무 좁혀가기보다는 넓게 시작해서 점차 좁혀가는 방법을 추천하고 있다.
+
3장과 4장의 백미는 바로 객관성과 민감성의 이야기다.
흔히 질적 연구에 있어서의
타당성과 신뢰성, 객관성과 주관성의 이야기는 많이했는데,
객관성과 민감성의 이야기는 새로운 프레임으로 보였다.
여기서 이야기하는 객관성과 민감성은
자로 해석에 있어서 얼마나 정확한 해석하느냐와 그 안의 뉘앙스를 잘 찾아내느냐의 이야기다.
어찌보면 자료와의 상호작용 이야기와 맥을 이어가는 것 같다.
자료 전달하는 정확한 의미를 제대로 파악하면서도, 그 안에 숨겨진 의미들을 찾아낸다는 것이다.
단순히 내 맘대로 해석하는 것도 아니며,
그렇다고 자료가 전달해주는 내용들만 그대로 받아들이는 것도 아니다.
자료가 전달하는 의미를 내가 객관적으로 파악했는지,
비교도 해보고, 다른 관점으로도 보고, 제대로 해석해는지 다시 한 번보고, 끝없이 고민해봐야 한다.
하지만, 그것만으로는 부족하다.
자료가 전달하지 않는 미묘한 뉘앙스와 의미를 민감하게 감지하고 새로운 개념적 의미를 찾아내야 한다.
자신이 보고 있다고 생각하는 것을 속성이나 차원 수준에서 실제로 보는 것과 항상 비교하고,
연구하는 사람의 인식이나 관점이 아니라 연구 참여자가 어떻게 사건을 보는가를 살펴봐야한다.
자신의 지식과 경험을 기반으로 자료를 보지만,
내 생각을 자료에 강요하지 않고 자료가 이끄는대로 따라가보는 것이다.
이건 뭐 진실을 찾아내는 CSI 수준을 넘어서,
자연의 흐름에 몸을 맡기고 자연과 하나되는 수도승의 경지에 도달하는 느낌이다.
내가 말하지 말고 자료가 나에게 스스로 말하게 만들어라...
하지만, 그러면서도 잊지말아야 할 것은,
연구자로써의 객관성을 동시에 유지해야만 한다...
* 본 사진은 판소리 명창 임진택 씨의 사진으로 느낌이 너무 좋아서 구글링을 통해서 불펌했습니다~
* 좀 더 자세하고 정확한 내용을 확인하고 싶은 분은 책을 구입해서 읽어보세요~ ^^