분류 전체보기 440

[협동조합⑤] 로버트 오웬과 윌리엄 킹

로버트 오웬(1771-1858)과 윌리엄 킹(1786-1865)은 비슷한 시대에 비슷한 가치관을 추구했지만,서로 다른 관점을 가지고 협동조합운동을 전개해나갔습니다. 무엇보다 이 두 사람의 가장 큰 공통점은로치데일 공정선구자조합에 지대한 영향을 끼쳤다는 점입니다. + 로버트 오웬은 협동조합운동분야에서는뭐~~ 거의 절대적인 선구자로 통하는 사람입니다. 로버트 오웬이 유명할 수 밖에 없는 이유는 비록 그의 실험이 실패하기는 했지만,누가 뭐라고 해도 제대로 한 번 판을 벌려 본 실천가이기 때문입니다. 오웬에 대한 후대의 평가는 매우 다양한데,마르크스와 엥겔스는 그를 Utopian Socialist라고 보았고,협동조합운동가들은 '시대를 거스른 위대한 자본가'라고 평가하고 있습니다. 로버트 오웬의 삶은실패한 것이라..

[협동조합④] 협동조합운동의 사회적 토양

이제는 본격적으로 협동조합운동에 대해서 알아보고자 합니다. 유럽에서 본격적으로협동조합이 등장하기 시작한 것은 19세기입니다. 운동차원에서 움직임이 나타나는 것은그 이전인 17세기로 거슬러 올라갑니다. 바로 제라드 윈스탠리가 만든 최초의 코뮌과퀘이커 교도들이 세운 신앙 공동체 운동입니다. 물론 사상적으로 거슬러 올라가면,토마스 무어의 를 꼽을 수도 있습니다. 협동조합 연구가들 중 일부는 여기서 더 올라가서초대 기독교 공동체와 고대 공동체 사회까지 거슬러가지만,개인적으로 구체적인 모델이 없기에 거기는 다소 무리가 아닐까 싶네요~ 빈민 구제에서 출발한 윈스탠리나종교적 신념에서 출발한 토마스 무어는시대를 앞서가도 진짜 너무나 놀라울 정도로 앞서 나갔습니다. 신분, 인종, 성별에 의한 차별에 저항했고,무정부주의나..

[협동조합③] 사회적경제와 제 3섹터의 개념

지난 글에서는 프랑스에서사회적 경제라는 개념이 어떻게 등장하게 됐고,최근에 어떻게 사회적으로 이슈화되었는지에 대해 설명했습니다. [협동조합②] 정치경제학과 사회적경제의 등장 < 관련 내용 보기 이번에는그 사회적 경제의 개념이 무엇이며,영미권의 제3섹터와는 무엇이 다른지에 대해서 정리해보도록 하겠습니다. 관련 내용을 가장 깔끔하게 정리한 사람은프랑스의 사회학자 장 루이 라빌 교수입니다. 2004년,장 루이 라빌 (Jean Louis Laville)교수는사회적 경제 분야의 내놓으라는 교수들과 함께이라는 책을 내놓습니다. 벨기에의 자크 드푸르니(Jacques Defourny), 이탈리아의 카를로 보르자가(Carlo Borzaga), 프랑스의 자크 들로르 (Jasques Delors)독일의 아달베르트 에베르스 ..

[Grounded Theory ⑤] 질문하기 & 비교하기_Anselm Strauss & Juliet Corbin (1998)

근거이론에서 자료를 분석하는 것은질문하기와 비교하기라는 방법을 통해서 진행된다. 분석자는 질문하기와 비교하기를 통해서불분명해 보였을 사건들의 의미를 이해할 수 있게 된다. 질문하고 비교하는 방법은자료 안에 있지만 발견되지 않은 채 남아있는 속성과 차원에 대해서 민감해지도록 도와주며,추가적으로 뽑아낼 수 있는 개념과 이론이 포화점에 도달할 때까지 계속해서 진행된다. 이론적 분석에 대해서 더 심도있는 질문이나 관찰을 하도록 해주며,분석자로 하여금 묘사의 수준에서 추상적 수준으로 재빨리 움직이도록 도와준다. 이러한 방법들은 기본적인 가정, 자신들의 편견, 그리고 관점을 검토하게 해주며,전개되는 이론을 더 꼼꼼히 검토하고 초기 틀을 확고히 하거나 변경시켜준다. 분석자가 변화와 일반적 패턴을 둘 다 발견할 수 있..

[Grounded Theory ④] 미시 분석_Anselm Strauss & Juliet Corbin (1998)

여행의 초기에, 나는 순진했다. 나는 그때까지는 여행을 계속하게 되면 대답들이 흔적도 없이 사라지게 되며, 복잡함만 더해질 뿐이라는 것, 그리고 더 여전히 더 많은 상호관계와 더 많은 질문들이 존재하고 있다는 사실을 알지 못했었다.(Kaplan, 1996 p.7) 본격적인 연구 방법을 설명하기 앞서,앞으로의 험난한 과정을 예언하는 듯한 이 인용구... 제대로 공부 한 번 해보겠다고,대학원에 들어 온 후에 절실히 느끼는 나의 심정을 너무나 잘 표현해주고 있다. 공부를 해보면, 뭔가 궁긍증이 해결될지 알았는데...오히려 궁긍증만 증폭되고 날이 갈수록 아는 것보다 모르는 것이 많다는 사실만 깨닫고 있다. + 미시분석은 연구 초기에 필수적인 자세한 줄단위 분석을 의미하며,최초 범주를 생성하고 범주간의 관계를 제..

[Grounded Theory ③] 객관성과 민감성_Anselm Strauss & Juliet Corbin (1998)

질적연구 근거이론의 단계국내도서저자 : Juliet Corbin,Juliet Corbin,Anseln Strauss / 신경림역출판 : 현문사 2001.06.25상세보기 3장과 4장의 내용은 본격적인 연구 진행에 앞서 고려해야하는 내용을 다룬다. 1) 질적방법을 사용할 것인가? 양적 방법을 사용할 것인가?2) 연구 문제를 선택하고 연구 질문을 서술하는 방법3) 객관성과 민감성 사이의 균형을 유지하기4) 문헌을 사용하는 방법과 목적 우선 방법론에 대해서는 방법은 도구일 뿐이며,이론화 과정에서 가장 적합한 방법을 적절하게 사용하라는 것이다.질적 방법과 양적 방법을 필요에 따라서 혼용해서 사용하는 것도 좋은 방법이라는 것이다. 연구 질문에 대해서도 처음부터 너무 좁혀가기보다는 넓게 시작해서 점차 좁혀가는 방법..

[Grounded Theory ②] 서술, 개념정리, 이론화_Anselm Strauss & Juliet Corbin (1998)

이 놈 참 물건이다...1장을 읽었을 때도 인상깊었는데... 2장은 '이론'에 대한 나의 개념을 확 뒤집어 버렸다.아직 본격적인 이야기를 시작하지도 않았는데, 별써 확~ 땡긴다~~ 2장의 주요 내용은서술(description), 개념정리(conceptual ordering), 이론화(theorization)가 무엇인지 설명해주고 있다. 서술과 개념정리에 대한 내용까지만 해도 슬슬 그냥 넘어가듯 읽었는데,이론화라는 부분을 읽을 때는 불과 2장의 분량을 1시간 내내 붙잡고 있었다. 과연 이론(theory)이란 무엇인가? 이 책에서 지적하는 가장 큰 오류는이론과 이론적 틀을 사람들은 구분하지 못하고,이론적 틀이 마치 이론을 이야기하는 것으로 착각한다는 것이다. 구조주의, 페미니즘, 상호작용주의 등...사람들이..

[Grounded Theory ①] 근거이론의 단계_Anselm Strauss & Juliet Corbin (1998)

근거이론은 사회학자인Barney Glasser와 Anselm Strauss(1967)에 의해 개발된 질적 연구 방법으로체계적인 자료 수집을 통해서 귀납적으로 이론을 뽑아내는 연구 방법이다. Barney Glasser와 Anselm Strauss는이론 개발과 연관한 경험적 연구를 강조하는 콜롬비아 대학(글레이저)의 학풍과질적 연구에 대한 오랜 역사와 강한 전통을 지닌 시카고 대학(스트라우스)의 학풍에 영향을 받았으며,양적 연구가 체계적인 사회과학연구의 유일한 형태라는 당시의 지배적인 견해를 비판하고 질적 연구를 옹호했다. 특히, Strauss는 상호작용주의자와 실용주의자들의 영향을 많이 받은 것으로 알려졌다.(Park 1967, Thomas 1966, Dewey 1922, Meade 1934, Hughes..

'안녕들 하십니까' 대자보가 고마운 이유

고려대 경영대 학생이 붙인 이 대자보... '이게 뭐 대단하다고들 이 난리인가?'이렇게 생각하는 사람들이 굉장히 많을 것이다... 난 그들의 의견에 충분히 공감한다.솔직히 그 내용만 보면 대단한 것도 아니고, 대자보라는 방식도 전혀 새로운 것도 아니다. 그럼에도 SNS를 넘어서,온갖 매체 뿐만 아니라 오프라인에서도 광풍처럼 퍼지는 것일까? 이는 소통을 원하는 평범한 사람들의 마음을 움직였기 때문이다. 빨간색 글씨에 자극적이고 어려운 내용을 쓴 대자보가 아닌,자기가 하고 싶은 말을 일방적으로 전달하는 기존의 대자보가 아닌, 자신의 생각을 이야기하면서, 다른 사람들의 의견을 물어보는 대자보였다. + 현재 대한민국의 정치 지형에 대해서 맘에 안드는 사람이어디 정치인이나 직접 행동하는 사람들밖에 없으랴...하지..

[해피브릿지] 아직도 멀고도 먼 협동조합의 길

지난 6월 국회에서 열린협동조합 활성화 포럼에 게스트로 참여할 기회가 있었다. 순전히 해피브릿지 사례를 듣고 싶어서 교수님을 따라 참석하게 되었습니다. 역시 국회의원들과 함께하는 모임이라서 그런지대한민국에서 협동조합에 대해서는 한가닥한다는 사람들은 다 모여있었다. 매달 열린다는 이 모임에서 6월의 주제는 사례 발표였다. 해피브릿지 사례를 들으러 간거였지만,운이 좋게도 사회적 협동조합(성남만남돌봄센터)과사업자 협동조합 (한국IT개발자 협동조합)의 사례도 같이 들을 수 있었다. + 협동조합에 대해서 좀 관심있는 사람은 대충 알고 있겠지만,대한민국에서는 노동자협동조합이라는 용어를 사용하지 않는다. 협동조합기본법 시행령에는 '직원협동조합'이라는 용어가 등장하는데, 그 이유는 아직까지도 우리나라에서는노동운동에 대..