분류 전체보기 440

[Strategy Safari] 5장 기업가학파(비저너리 프로세스) - Henry Mintzberg (2005)

기업가 학파는 최근 유행하는기업가 정신(Entrepreneurship)이라는 용어와 관련된다. 사회적기업 열풍이 불면서창업과 관련해 기업가 정신이라는 용어도 일반인들에게 많이 친숙하게 되었는데,기업가 정신(Entrepreneurship)에 대해서는 창업가 정신이라고 해야한다는 이야기도 있다.(개인적으로는 창업가 정신이라는 번역이 오히려 더 오해의 소지가 있다는 느낌도 있다.) 기업가 정신은 외부 환경에 민감하게 반응하고 기회를 찾아서혁신적인 사고를 통해 시장에 새로운 가치를 창출하는 활동을 의미한다. 기업가 학파 역시 이렇기에 철저히 리더의 역할에 주목하게 되는데,디자인 학파가 개념적 프레임워크를 통해서 전략을 수립하는 리더십의 역할을 강조했다면,기업가 학파는 반대로 리더의 직관과 지혜, 경험, 통찰에 ..

[Strategy Safari] 4장 포지셔닝학파(분석적 프로세스) - Henry Mintzberg (2005)

포지셔닝 학파, 아니 전략경영 전체를 통틀어서가장 많이 이름이 등장하는 사람은 누가 뭐라해도 마이클 포터(Michael Porter)이다. 어떤 이들은 그를 전략 경영의 창시자라고 하고,어떤 이들은 그의 주장이 일관성이나 근거가 부족하다고 한다. 하지만, 그는 강연 한 번에 1억씩 받을 정도로 최고 중의 최고로 인정받고 있고최근에는 CSV(Create Shared value)라는 개념을 들고나와서 다시 한 번 전성기를 맞이하고 있다. 심지어 마이클 포터는 대한민국의 자문위원으로도 위촉되었다.2008년 이명박 정부는 대통령 국제자문단을 구성해서 운영했는데,마이클 포터, 빌 게이츠, 기 소르망, 클라우스 슈밥 등이 포함되었다고 발표하였다. 근데, 이런 사람들을 모아놔봤자... 별 소용이 없는 것인가?암튼 이..

[Strategy Safari] 3장 플래닝학파(공식 프로세스) - Henry Mintzberg (2005)

플래닝학파의 가장 큰 특징은1970년대 수 천개의 논문이 발표될 정도로 인기를 끌다가,1980년대 들어서 한 방에 훅~~ 가버렸다는 것이다. 플래닝학파의 시작에 대해서는Igor Ansoff (1965)의 Corporate Strategy 에서 출발했다고 이야기한다. Product and Market Growth Matrix 로 유명한 이 책의 내용은기업 성장 전략을 제품에서 찾을 것이냐 시장에서 찾을 것이냐의 이슈를 던진다.(사실 플래닝학파뿐만 아니라 기업 전략 분야의 출발이라고 보는 사람들도 있다.) 플래닝학파가 영향을 받은 부분은 이렇게 전략을 나누는 것에서 끝난 것이 아니라,계획적으로 단계를 나눠서 시장이나 제품의 성장을 실제적으로 어떻게 활용하냐 하는 부분이다. 대부분의 플래닝학파들은 SWOT을 ..

[Strategy Safari] 2장 디자인학파(개념화 프로세스) - Henry Mintzberg (2005)

디자인학파는 전략 수립 프로세스와 관련해가장 영향력 있는 견해이며, SWOT분석이 그 대표적인 접근법이다. 디자인 학파의 특징은 가장 큰 특징은내부 역량과 외부 가능성이라는 요소의 합치(fit)를 중요시 여긴다는 점이다.(디자인 학파의 접근은 그림으로 그려보면~~ 일단, 참~~ 보기에 좋다. 실전에서는 어떨지 몰라도...) 디자인 학파의 기원은 유명한 2개의 논문에서 찾는다. Philip Selznick (1957) - Leadership in AdministrationAlfred Chandler (1962) - Strategy and Structure 이 논문들은 '조직 구조에 정책을 짜 넣어야 한다는 주장'과'구조는 전략을 따른다'는 상반되는 유명한 주장을 한 연구들이다. 둘을 비교하면 닭이 먼저나 ..

[Strategy Safari] 1장 전략경영이라는 이름의 코끼리 - Henry Mintzberg (2005)

왜 하필 사파리일까?그리고 왜 하필 코끼리에 비유할까? 민츠버그는 전략경영을 짐승에 비유한다."전략경영의 여러 부분들은 다른 부분보다 어렵기 때문에, 이 짐승을 길들이려고 하기보다는 친밀해야 한다." (p14) 거칠고, 다루기 힘들다는 의미를 짐승에 비유한 것이고,수 많은 전략들이 같이 존재하기 때문에 사라피라는 이름을 붙인 것이다. 그가 코끼리라는 은유를 가져온 이유는 존 고드프레이 색스의 우화에서 따온 것이다. 서로 다른 곳을 만져본 장님들은 다들 자기가 맞다고 우기게 된다.각 부분을 합친다고 코끼리의 정체를 알 수 있는 것도 아니다.하지만, 전체를 알려면 먼저 부분을 이해해야하고, 이를 통해 전체를 봐야한다. 민츠버그는 전략에 대한 10가지 연구 흐름을 정리하고이를 통해서 전략 수립이라는 사파리를 ..

JTBC 뉴스9 특집토론 리뷰 - 2편 토론 내용에 대해서...

의도하지 않게 토론에 대한 리뷰가 2개로 나뉘게 되었다. JTBC에 대해서 할 말이 이렇게 많았다니...프로그램 기획 의도에 대한 이야기만으로도 글이 너무 길어졌다. 기획의도 분석 관련 내용 보러가기 + 오늘은 본격적으로 토론내용을 다뤄보고자 한다. 일단 토론 대상자 선정부터 눈길을 끌었다. JTBC의 입장에서는 첫 시도이기에 당연히 최고의 논객들을 끌어모아야 했다. 하지만, 그렇다고 공정성이나 대표성 등의 이슈를 고려하지 않을 수 없다.게다가 말을 잘하는 것 뿐만 아니라 상업성도 고려해야만 했다. 여러모로 고려한 흔적이 눈에 보이는 패널 구성이다. 일단 정치인(이혜훈, 노회찬)과 비 정치인(전원책, 유시민)으로 나누었고,비 정치인도 특정 정파를 형성하지 않는 사람으로 선택하였다. 물론 이런 기준이면 유..

JTBC 뉴스9 특집토론 리뷰 - 1편 기획의도에 대해서...

2014년 1월 1일 새해를 맞이해서 JTBC는 특집토론을 준비했다.탁월한 기획이라고 생각했다. 학기 레포트 마감이 코앞인 상황인지라,토론을 보고나면 되씹어보고 남들 의견듣는데...온갖 시간을 낭비할 것같아 참다가 이제서야 보게되었다. 워낙 호평 일색이였던 토론인지라...굉장한 기대를 하고 다시봤던 토론이라서 그런지 급실망했다... 마치 2012년 대선 직전윤여준 전 장관과 김종인 비상대책위원장의 토론을 연상시키는 분위기... 명쾌한 인사이트를 원했던 나에게는 급실망을 주었지만,JTBC는 원했던 의도를 제대로 성취한 성공적인 토론이였다. 어떻게 보면 토론이 무엇인가 다시 한 번 생각해보게 만들면서도JTBC와 손석희의 탁월한 기획과 진행 능력에 대해서 감탄을 하게 되고,보수와 진보의 대표 논객이 되어버린 ..

[국민TV] 경영이란 무엇인가? - 최동석 경영이사

최동석 국민TV경영담당이사는예상과는 다르게 화려한 경력을 자랑한다. 일반인에게는 잘 알려지지 않은 직장이지만공기업 중에서도 최고 중 최고는 한국은행에서 근무했고,그 외에도 삼일회계법인, 정보통신부, 행정자치부 등에서 근무한 경력이 있다. 경영일선에서 물러나서 재야의 삶을 살던 그를다시 뛰게 만든 것은 바로 꾹민 TV의 출범 이였다. 처음에 국민TV 미디어협동조합 출범 시만 해도 우려가 많았다.과연 협동조합을 제대로 운영할 능력도 없는데 일만 벌리는 것은 아닌가?다른 협동조합들처럼 열정 하나만 가지고 맨땅에 헤딩하는 것은 아닌가? 하지만, 김용민 PD의 준비는 철저했고,총회에 나타난 사무국 맴버들의 무게감은 상당했다. 역시 그 중심에는 최동석 경영 이사가 있었다.물론, 대중적으로 알려진 인물은 아니여서 협..

[Organization theory] 조직의 8가지 이미지 (Images of organization) - ③ Brains

조직이론 - 조직의 8가지 이미지 (양장)국내도서저자 : 가레쓰 모르간(Gareth Morgan) / 박상언,김주엽역출판 : 경문사(한헌주) 2012.09.07상세보기 Earning and Self-organization: Organizations as Brains 두뇌로써의 은유(Metaphor)는의사결정이론과 정보처리 모형, 학습조직,사이버네틱스, 학습 조직, 홀로그래피 등의 이슈를 주로 다룬다. 유기체적인 은유가주로 환경의 도전과 변화에 대한 창조적 대응을 다루었다면, 두뇌로써의 은유는 학습과 자기조직화의 아이디어를 가지고실제로 어떻게 달성할 수 있는지에 대한 구체적인 지침을 제공해준다. 부정적인 부분들을 차례로 제거해나가는 사이버네틱스의 방식이나,한 번 더 내면의 숨겨진 문제를 인식해보는 이중고리..

[Organization theory] 조직의 8가지 이미지 (Images of organization) - ② Organisms

조직이론 - 조직의 8가지 이미지 (양장)국내도서저자 : 가레쓰 모르간(Gareth Morgan) / 박상언,김주엽역출판 : 경문사(한헌주) 2012.09.07상세보기 Nature Intervenes: Organizations as Organisms Gareth Morgan이 제시한 두 번째 은유(metaphor)는 유기체이다. 사실 기계적 은윤와 유기체적 은유는어떠한 조직 이론 책을 보더라고 등장하기에 별로 신선하거나 새롭지 않은 견해이다. 하지만, 가장 너무나 대표적인 이론들이기 때문에 반드시 집고 넘어가야 한다. 유기체적 은유는조직을 둘러싼 외부 환경에 주목했다는 점에서 큰 의미를 갖는다. 기계적 은유가 내부 작동 매커니즘에만 주목했다면,유기체적 은유는 환경과의 상호작용에 주목하고 있다. 이러한 관..