Pot cast 30

[시사통] 동양철학으로 세상을 보다 ⑤ - 묵자와 예수는 쌍둥이였다 (김시천 경희대 연구교수)

[03/27pm] 묵자와 예수는 쌍둥이였다 < 원문 방송 듣기 (시사통) 오랫만에 김시천 교수의 팟캐스트를 들었다.너무 내용이 좋아서 집중해서 들어야하기에 한동안 묵혀두고 있었는데, 간만에 기회가 생겼다. 역시나 맛깔나는 내용이기는 하지만, 이전 편들에 비하면 좀 약한 느낌이 많이 들었다.오늘의 주인공은 바로 이다. 는 상대적으로 공자/맹자나 노자/장자에 비하면 많이 알려지지 않은 편이다. 초기 춘추전국시대 송나라의 대부로 전쟁에 뛰어든 것으로 기록되어있으며,침략전쟁을 반대했으며, 온갖 방어 전쟁에 참전해서 "겸애"를 추구한 것으로 알려져 있다. 초나라의 9번 공격을 막아낸 것으로 유명하며,이와 관련된 이라는 소설은 만화와 영화로도 만들어졌다. 맹자는 양주가 군주를 무시한 사상이라고 비난하면서,묵가에 대..

[Bunker 1] 강헌의 전복과 반전의 순간 시즌2 Episode 01 - 해방 후 민족음악

오랫만에 들어보는 강헌선생의 강연!! 역시나 명불허전이였지만,이번 강의는 서론이 좀 너무 길고, 결론이 조금은 아쉽게 급 마무리된 느낌이 들기는 했다. 1860년대 러시아 5인조와1945년 해방 직후 한국의 민족음악 다른 듯하지만, 매우 닮은 이 2가지 이야기는'김순남'이라는 한국이 낳은 천재가 역사의 회용돌이 속에서 사라져버린 안타까운 사연을 들을 수 있었다. 강헌의 전복과 반전의 순간 시즌2 Episode 01 - 누가 우리를 주변이라고 부르는가+ 러시아의 5인조는 분명 중학교 음악교과서에 나왔던 것 같은데, 강헌선생의 강연을 듣기 전까지는 완전히 씨커먼케 잊고 살았던 그냥 암기의 대상이였다. 민족문제에 관심을 가지고 민요를 중심으로 음악활동을 펼친 흐름이 있었다. (사진 출처: 알라딘 블로그 htt..

[시사통] 사회를 보는 시선 ⑤ - 사람들은 왜 불평등을 받아들이는가 (조형근 한림대 연구교수)

[2014.03.25] 사람들은 왜 불평등을 받아들이는가 - [시사통] 방송듣기 간만에 굉장히 흥미로운 강의였다. 이데올로기라는 것이 무엇이고, 어떻게 지금의 의미로 형성되었으며,헤게모니이론과 현대 사회의 냉소주의에 대해서도 구체적으로 설명해주는 강의이다. 마르크스, 그람시, 알튀세르, 지젝이라는 등장인물도 훌륭했지만,지난 강의가 약간 짜집기적인 느낌이 들고 현실과의 이질성이 좀 느껴졌다면,이번 강의에서는 대한민국의 정치 현실을 포괄적으로 인식할 수 있게 해주는 강의였다. + 강의는 일단 이데올로기라는 개념에 대한 이해부터 시작된다. 이데아(Idea)라고 불리던 관념적인 것들을과학적으로 연구한 것을 이데올로기(Ideology)라고 불렀고,이데올로기를 연구하는 사람들을 이데올로그(Ideolog)라고 부르게..

[시사통] 사회를 보는 시선 ④ - 엘리트의 사회지배는 불변인가 (조형근 한림대 연구교수)

[2014.03.18] 엘리트의 사회 지배는 불변인가 - [시사통] 방송듣기 다윈의 진화론은 생명에 대한 패러다임을 바꾸어버렸다.하지만 생물학에서 시작된 다윈의 진화론을 전혀 다른 시각으로 해석한 사람들이 있다. '적자생존'이라는 논리로 을 주장한 허버트 스펜서와'만물은 서로 돕는다'는 을 주장한 표트르 크로프트킨이 그 주인공이다. 다윈의 진화론은 환경의 변화에 따라 그에 적합한 생물체가 살아남는다고 설명했으나 그 생존의 방법에 대해서는 설명하지 않았다. 이에 대해 영국의 사회학자였던 허버트 스펜서는생물들이 생존 경쟁을 통해서 더욱더 환경에 적합한 자만 살아남는자고 주장한 반면, 러시아의 지리학자이자 사상가인 표트르 크로프트킨의 경우에는시베리아 여행을 통해 관찰할 결과 만물은 서로 연대하고 돕는 과정을 ..

[시사통] 사회를 보는 시선 ③ - 좌파가 바라보는 불평등 (조형근 한림대 연구교수)

[2014.03.11] 좌파가 바라보는 불평등 - [시사통] 방송듣기 우파가 불평등을 어쩔 수 없는 사회현상으로 봤다면,좌파는 불평등이 어디서 시작됐는지 그 근원에 대해서 치열하게 고민했다. 대표적인 인물이 바로, 장 자크 루소, 칼 마르크스, 막스 베버, 피에르 부르디외이다. 장 자크 루소는 그의 명저 에서인간은 자연상태에서는 평등했는데 사회 상태로 들어오면서 갈등이 생겼다고 보았다. 거주지에 정착해 가족을 만들면서 사유재산이라는 것이 생겼고,이를 지키기 위해서 국가라는 개념이 생기면서 본격적으로 불평등은 시작된다. 그렇기 때문에 국가를 해체하고 사유재산을 폐지해서인민들이 평등하게 살수 있게 만들어야한다고 루소는 주장하게 된다. 이러한 견해를 그대로 이어받은 사람이 바로 칼 마르크스이다. 마르크스 역시..

[시사통] 사회를 보는 시선 ② - 우파 불평등론은 파산했지만... (조형근 한림대 연구교수)

[2014.03.04] 우파 불평등론은 파산했지만 - [시사통] 방송듣기 불평등에 대한 논쟁은 아직도 끝이 없다. 좌파에서는 불평등을 사회악으로 간주하지만,우파에서는 불평등을 필요악으로 간주한다. 물론 우파의 불평등론은 이제 더 이상 힘을 받지 못하지만,조형근 교수는 우파 불평등론의 핵심을 구조기능주의에서 찾아보았다. + 구조기능주의는전설적인 사회학자 탤컷 파슨스(Talcott Parsons)에 의해서 주장된 것으로 20세기 중반까지만 해도 절대적인 지지를 받았으나, 1970년대 이후로 비판에 직면하게 되면서 현대에 들어와서는 거의 주목을 받지 못하는 이론이다. 하지만, 그의 구조기능주의는킹슬리 데이비스, 윌버트 무어, 니콜라스 루만 등에 영감을 주었고,현대 조직 이론에서도 매우 중요한 사상적 근원으로 ..

강신주의 다상담 11 - '종교와 죽음' 편

사랑하면 무조건 아프다. 부재의 고통이 없으면 사랑이 사라진 것이다.아프다는 것은 아직 살아있다는 것이다. 고통을 받는 것이 사랑이다. 사랑하는 사람을 두고 먼저 떠나는 건 죄악이다. 고통으로 느껴지지않는 죽음은 아무런 의미없는 것이다. 종교는 미래의 공포를 먹고 산다 여하한 자유라도 사랑이 있다면 방종일 수 없다 - 김수영 + 개인적으로 다상담이 끝나서 다행이다...계속 더 했으면 그냥 안 들었을 것 같다... 점점 지루해지고 패턴이 반복되면서...좀 더 자극적인 사연을 기대하게 되는 나를 발견했기 때문이다... 아름답게 마무리해서 다행이다.

강신주의 다상담 10 - '꿈' 편

꿈을 가지면 안된다. 우리는 꿈없이 사는 법을 배워야 한다.꿈은 현재를 살지 못하고 미래를 살게 만든다. 꿈을 생각할수록 현재를 살기 어려워진다.내일을 생각하면, 우리는 즐겁게 놀 수 없기 때문이다. 생각하러 산에 가고 여행가는 것이 아니라 생각하지 않으려고 산을 가는게 좋은 것이다. 여행은 그냥 가는 것이다... 항상 가는 여행지는 확인 하러가는 것이다. 소유한다는 것은 목적없이 돌아다니고~ 그냥 편히 있는 것을 이야기한다. 인생을 여행이라 하는 것은 목적지를 정하고 틀을 만들어가는 것이 아니다. 목적을 정한 순간 과정은 무시될 수도 있다.삶은 과정이지만, 결과만 생각하게 만들어버린다. 꿈은 2종류로 나뉜다. 1) 현실을 못보게 만드는 꿈 - 개꿈, 그저 바라는 허상, 꿈에서 허덕이며 불행하게 만듬 -..

[시사통] 사회를 보는 시선 ① - 사회를 보는 좌우파의 시각 (조형근 한림대 연구교수)

[2014.02.26] 사회를 보는 좌우파의 시각 - [시사통] 방송듣기 강의 제목은 이지만,사실상 내용은 프리드리히 폰 하이에크에 대한 이야기였다. 원래 기획의도는 칼 마르크스와 프리드리히 폰 하이에크를 비교하려고 한 듯한데,사실상 하이에크 이야기만 하다가 시간이 다가버려서 그냥 끝낸 듯한 느낌이다. 암튼 밀턴 프리드먼과 함께 신자유주의의 선구자로 알려진 하이에크는오늘날 경제 문제의 원흉처럼 취급을 받으며 천하의 못쓸 인간 취급을 받지만,어찌보면 칼 마르크스와 대적할만한 유일한 우파 경제철학가라고 할만한 거물 중에 거물이다. 조형근 교수는 이러한 하이에크에 대해서"개인의 근원적 자유와 해방을 위해서 누구보다도 고민했던 사람"이라고 평가하고 있다. 진보진영의 학자가 내리는 평가치고는굉장히 호의적인 평가이..

[시사통] 동양철학으로 세상을 보다 ④ - '성선설'은 정치 구호였다 (김시천 경희대 연구교수)

성선설과 성악설... 맹자의 성선설과 순자의 성악설을 이론적으로 대조하기도 하고,어쩔 때는 동양 사상과 서양 사상의 차이로써 구분해서 이야기하는 사람도 있다.(루소와 홉스의 차이로 설명하기도 하는 것을 보면, 동양과 서양의 차이로 이야기하는 것은 다소 좀...) 반면, 아리스토텔레스와 공자의 주장을 끌어와서,인간의 본성은 원래 선한것도 악한 것도 아니며 평가할 수 있는 대상 자체가 아니라고 비판하는 사람도 있다. 개인적으로는'인간의 속성을 어떻게 규정할 수가 있는가?'라는 생각을 가지고 있기에...둘 다 너무 표면적인 부분만 설명한다고 생각하고 있었는데... 김시천 교수의 지적은 너무나 신선한 접근이였다. [03/20pm] 성선설은 정치 구호였다 < 원문 방송 듣기 (시사통) 김시천 교수의 주장은 맹자가..