전체 글 440

[Organization theory] 조직의 8가지 이미지 (Images of organization) - ⑧ instruments of Domination

조직이론 - 조직의 8가지 이미지 국내도서저자 : 가레쓰 모르간(Gareth Morgan) / 박상언,김주엽역출판 : 경문사(한헌주) 2012.09.07상세보기 The Ugly Face: Organizations as instruments of Domination 마지막 조직의 이미지는영국의 수상 에드워드 헤스 (Edward Heath)가 표현한 "추악한 얼굴"이라는 키워드에서 따왔다. 지배자로써의 조직역시 이런 이야기를 하면 거대한 관료제가 가장 먼저 떠오른다. 막스베버는 사회적 지배의 방식이카리스마적 지배와 전통적 지배에서 합리적이고 합법적인 지배로 변화되었다고 이야기한다. 지금이야 관료제라는 단어가 부정적이지만,중세 시대의 태어난 신분에 의한 지배가 이루어지던 시대에관료제라는 조직은 굉장히 획기적이..

[Organization theory] 조직의 8가지 이미지 (Images of organization) - ⑦ Flux and Transformation

조직이론 - 조직의 8가지 이미지 국내도서저자 : 가레쓰 모르간(Gareth Morgan) / 박상언,김주엽역출판 : 경문사(한헌주) 2012.09.07상세보기 "당신은 걸어서 같은 강을 두 번 건널 수는 없다.왜냐하면 그 강물은 끊임없이 흐르고 있기 때문이다." 그리스의 철학자 헤라클리투스(Heraclitus)이 이 말은끝없이 변화하는 세상에 대한 가장 적절한 설명일 것이다. 지금과 다른 시간, 오늘과 다른 내일, 내일과 다른 모레...시간이 흐른다는 것은 단지 숫자가 바뀌었다는 것을 의미하지 않는다. 물리법칙에는 대칭성이 존재하지만 시간은 화살처럼 방향성이 있지 되돌릴 수 없다.그렇기 때문에 끊없이 변화하고 다시 제자리에 돌아와도 이건 이전에 것과는 분명히 다른 것이다. 이론물리학자 데이비드 보옴은과..

[Organization theory] 조직의 8가지 이미지 (Images of organization) - ⑥ Psychic Prisons

조직이론 - 조직의 8가지 이미지 국내도서저자 : 가레쓰 모르간(Gareth Morgan) / 박상언,김주엽역출판 : 경문사(한헌주) 2012.09.07상세보기 이 관점은 조직이 일종의'심리적 현상'이라는 생각에 그 사고의 뿌리를 두고 있다. 조직 스스로가 독자적인 존재와 힘을 갖게 되어, 사람들에게 상당한 통제력을 행사할 수 있게 된다는 점을 인식하도록 도와준다. 플라톤의 동굴(Plato's Cave) 비유에서는동굴 안의 포로들에게 진실과 현실이란 그림자의 세계 속에서만 존재한다고 이야기한다. 만약 누군가 동굴을 벗어나 새로운 세계를 접한 후 다시 동굴로 돌아와 이러한 사실을 말한다면,기존에 남아있던 사람들은 기존의 친숙한 시각과 관점에 더욱 매달리게 되는 결과를 초래하게 된다. 결국은 현실 구축 과정..

[한국현대사의 이해 ⑤] 전쟁과 사회 - 김동춘 (2000)

전쟁과 사회 - 우리에게 한국전쟁은 무엇이었나? (개정판)국내도서저자 : 김동춘출판 : 돌베개 2006.11.30상세보기 의 가장 큰 장점은한국전쟁을 민중의 관점에서 바라본다는 점이다. 1980년대 브루스 커밍스의 이 사회적 문화적 맥락에서 한국전쟁의 원인에 대한 새로운 관점을 제시했다면,2000년대 김동춘 교수는 한국전쟁 그 자체가 가지는 의미에 대해서 새로운 관점을 제시했다. "전쟁의 정치적 측면, 전쟁과 계급 갈등, 전쟁과 정책을 분리시키는 기존의 인식 태도는일본 극우파의 공식적인 역사 인식과 유사한 패턴에 불과하며, 한국전쟁에 대한 공식화된 인식은정치/사회적 과정으로서의 전쟁의 진행 과정에 대한 객관적 인식을 흐리게 하며, 오늘의 정치/사회를 이해하는데 기여하지 못한다." 김동춘 교수는 이러한 문..

Books/정치/역사 2014.03.31

[Organization theory] 조직의 8가지 이미지 (Images of organization) - ⑤ Political System

조직이론 - 조직의 8가지 이미지 국내도서저자 : 가레쓰 모르간(Gareth Morgan) / 박상언,김주엽역출판 : 경문사(한헌주) 2012.09.07상세보기 "다양하면서 갈등적인 이해관계를 가질 가능성이 있는 여러 사람들 사이에 어떠한 방식으로든 질서와 방향을 찾기 위한 방도가 찾아져야 한다는 의미에서 조직은 본질적으로 정치적이다." 사실 '정치'란 단어는 굉장히 지저분한 단어로 간주된다.그래서, 공식적인 석상에서는 정치적인 조직에 대해서 거의 언급되지 않는다. 하지만, 조직의 기본 기능 중에는통치시스템으로서의 기능이 반드시 존재하며, 이것을 어떻게 구연할까의 문제가 발생한다. 민주적 경영이라는 요소 때문에 화두가 되는 협동조합도어찌보면 조직이 가지고 있는 정치적 특성이 좀 다른 조직이라고 볼 수 있..

[Organization theory] 조직의 8가지 이미지 (Images of organization) - ④ Culture

조직이론 - 조직의 8가지 이미지 국내도서저자 : 가레쓰 모르간(Gareth Morgan) / 박상언,김주엽역출판 : 경문사(한헌주) 2012.09.07상세보기 조직을 문화적 관점에서,본격적으로 연구가 진행된 것은 1980년대부터이다. 미국 기업의 부진과 일본 기업의 급성장을 이해하기 위해서,일본 기업들에 대한 연구가 활발히 진행되면서 기업 문화에 대한 관심이 급증하기 시작했다. 같은 베스트셀러와윌리엄 오우치, 에드거 쉐인 등의 학자들의 활발한 연구로 많은 연구들이 이어졌고,혼다, 도요타와 같은 일본의 자동차 업체들을 중심으로 많은 결과물들이 쏟아져 나왔다. 하지만, 1990년대 이후 일본 기업들이 몰락하기 시작하고문화연구를 통한 결과물이 경영자를 위한 손쉬운 해결책을 제시해주지 못하고분석의 수준이 근본..

인간 사물 동맹 - 홍성욱 엮음(2010)

인간 사물 동맹국내도서저자 : 브루노 라투르(Bruno Latour) / 홍성욱역출판 : 이음 2010.01.20상세보기 ANT(Actor Network Theory)에 대한입문서의 성격이 강한 책이지만, 입문서라고 하기에는 내용이 좀 어렵다. 이 책은 ANT에 대한 연구논문들을 모은 책인데,한국인들이 쓴 부분은 잘 이해가 되지만, 대표 학자들(라투르, 로우, 콜롱)이 쓴 부분은...굉장히 읽어 내려가는데 힘겨웠다... 그래도 전반적으로 ANT에 대해서 많이 이해할 수 있었기에 너무나 보람찾던 책이다~ ^^ 이 책 한 권 읽어놓고,내가 ANT에 대해서 이해했다고 이야기한다면,너무나 가증스러운 짓이겠지만, 전체적인 맥락과 요지를 이해하는데는 큰 도움이 되었다. 특히나 마지막 챕터에서 등장하는 스노우가 이야..

Books/교양/과학 2014.03.23

[사회혁신] 2014 오픈테이블 - 일상폴폴

제3섹터 분야에 기웃거린지 벌써 2년 정도된 듯하다...(NGO부터 시작하면, 한 5년쯤 된다고 할 수도 있겠다.) 이 쪽 활동가들의 가장 큰 매력은 참신하고 기발한 아이디어들이 넘친다는 것이다.그리고, 아무런 욕심 없이 그냥 질러보고, 진짜 멋진 열정도 가지고 있기에 보기에도 참 좋다. 이쪽 바닦은 주류 사회 또는 그와 정점에 있는 진보진영 운동과는뭔가 확실히 다른 것 같았고 개인적으로 내 취향에도 잘 맞는 것 같았다. 근데, 이 바닦에 발을 담근 후 가장 느끼는 것은바위에 계란을 계속 던지기는 하는데, 뭔가 좀 체계적이고 생산적이지는 못하다는 것이다.어디서 재미있고 신기한 것을 찾아오거나 때로는 생각해내기도 하는데, 깊이와 계획은 좀 부족한 느낌? 그래서, 기성세대, 또는 주류에 있는 사람들이 보기에..

[한국현대사의 이해 ④] 제헌헌법, 한민당과 친일파

1948년 7월 17일 선포된 제헌헌법은안타깝게도 원본이 6.25때 분실되었고, 현재 보관중인 것은 관보 등을 통해서 재작성된 것이다. 분단이 확장되고, 정부 수립 직전에 작성된 헌법이기에,굉장히 우편향되었을 것이라는 나의 편견과는 완전히 다르게...재헌헌법의 내용은 굉장한 신선했다. 무엇보다도 가장 먼저 눈에 띄는 부분은 전문 첫 줄에 '삼일운동으로 대한민국을 건립'했다는 부분이다. 이 부분은 대한민국 임시정부의 전통을 그대로 이어받았다는 내용이며,도대체 건국절 운운하는 사람들은 과연 이러한 내용을 읽어라도 봤는지 의문시 되었다. 대한민국은 정부 수립 시점부터 임시정부를 정통으로 내세우고 있구만...아니, 어디서 어이없게 건국절을 이야기할 수 있다는 말인지... 또한 여러가지 문구들이 눈에 띄는데, 아..

Books/정치/역사 2014.03.20

[한국현대사의 이해 ③] 한국전쟁의 기원 - 브루스 커밍스 (1981)

한국전쟁의 기원국내도서저자 : 브루스 커밍스 / 김자동역출판 : 일월서각 2001.09.30상세보기 이 책은 읽을수록 빠져드는 매력이 있다.물론 뒷부분에 가면 비슷한 내용이 반복되는 경향이 나타나기도 하지만 굉장히 디테일하게 사실들을 기록하고 있으며, 굉장히 인사이트가 많이 느껴지는 책이다. 물론, 나중에 소련의 비밀문서가 공개되면서,일부 내용에 오류가 있었다는 것이 발견되기도 했지만 진짜 잘쓰여진 책은 맞는 것 같다. 1980년 이 책이 출간되덜 시절 대한민국에서 그 임펙트는 엄청났다고 한다. 80년 광주 항쟁 이후 '과연 미국은 우리에게 어떤 나라인가?'라는 질문을 하던대한민국의 대학생들에게 미국과 한국의 역사적 관계에 대해서 굉장히 깊이있게 파고든 책이였기 때문이다. 한국전쟁이 왜 일어났는지에 대해..

Books/정치/역사 2014.03.20