전체 글 440

[한국현대사의 이해 ②] 식민지 시대의 이해

시카고 대학교 석좌교수인 브루스 커밍스는 그의 대표저서 에서 일본 식민지 정책의 특징을 플라톤적 식민주의라고 설명한다. 메이지 유신으로 산업화를 맞이한 일본은 강대국과의 경쟁을 위해서 방어적 목적으로 식민지 경영을 시작했고,강대국과의 경쟁을 피하기 위해서 일본 본토 가까이를 중심으로 식민지를 개척해서 다른 국가들보다 더 밀착해서 수탈했다고 한다.(아는 놈이 더 무섭다고... 나쁜 놈들...) 일본은 한국을 식민지화하기 위해서한국의 상층 계급 내의 긴장을 조성해서 일진회같은 친일조직을 동원했고,국권이 넘어가고 연금 혜택을 받은 관료만 3,645명에 귀족이 84명이나 됐다고 한다. 식민지 시절 초반에는 군인 출신의 총독이 자체적으로 통치를 했으며일본의 천황에 대해서 책임만 지는 형태로 운영되었으나, 1919..

Books/정치/역사 2014.03.19

[진보와 보수의 12가지 이념 ①] 공공정치철학의 구성 (Paul Schumaker 2008)

진보와 보수의 12가지 이념국내도서저자 : 폴 슈메이커(Paul Schumaker) / 조효제역출판 : 후마니타스 2010.10.22상세보기 정치사상에 대해서 매우 포괄적으로 다룬 매우 흥미로운 책이다.저자 역시 깊이보다는 넓이를 추구했다고 서문에 확실히 적어두고 있다. 저자는 최대한 객관적인 입장에서 12가지의 주요 이념들을 다루고,4가지 철학적 가정과 7가지 정치적 원리를 기준으로 이들을 비교해보고자 했다. 이 책의 번역자인 조효제 교수는정치이념은 부단히 역사적 발전과 진화를 거치고 있는 현재 진행형의 현상이기 때문에정치이념을 단 몇 마디로 과감하게 요약하고 정리하기 어렵다고 서문에서 밝히면서, 현대 사회에서 현실 정치를 좌우해 온 통치 이념,현실 통치 이념에 속하지는 않지만 지성적으로 중요한 통찰을..

Books/철학/사상 2014.03.18

최무영 교수의 물리학 강의 - 최무영(2008)

최무영 교수의 물리학 강의국내도서저자 : 최무영출판 : 책갈피 2008.12.20상세보기 원래 이 책은 서울대에서물리학 비전공자를 대상으로 한 교양강의를 책으로 정리한 것이다. 그렇기 때문에 쉽게 구어체로 쓰여있어서어려운 개념이 많이 등장하지만 쉽게 쉽게 넘어갈 수 있게 되어 있다.(중간에 수식이 많이 나오지만, 대충대충 이해하고 넘어가도 큰 문제는 없다.) 서울대 장회익 교수는 이 책에 대해서인문학과 자연과학이 분리되서 이해되는 상황에 대해서'두 문화'(C.P. Snow)를 연결시키는 다리가 될만한 책이라 추천하고 있다. 장회익 교수의 말대로 이 책은인문학 전공자인 나도 충분히 물리학에 대한 기초 상식을 쌓을 수 있도록 잘 쓰여있다. 1부에서는 과학에 대한 개괄을 설명해주고 있다. 과학이 무엇인지,과학..

Books/교양/과학 2014.03.12

노예 12년 (12years a Slave) - Steve Mcqueen

참... 담담한 영화다. 너무나 과장이 없기에 오히려, 134분이라는 러닝타임에도 불구하고 더 몰입할 수 밖에 없었다. 원작소설에서는 더 극적인 여러 차례의 탈출 시도들이 나온다는데,스티브 맥퀸 감독은 솔로몬의 탈출시도를 굉장히 절제해서 표현하고 있다.(심지어 첫 번째 탈출 시도는 탈출 시도라고 보기도 애매한 모습으로 묘사된다.) 그렇기 때문에 더 현실적이고, 더 많은 것을 생각하게 만드는 영화... 원작 소설이 미국에서 남북전쟁이 시작되는데 큰 영향을 주었다면, 새로운 영화는 약 170여년이 지난 현재에 과연 어떤 메세지를 던지고 있는가... + 영화의 초반 몇 분동안 전개되는 솔로몬의 원래의 삶은 좀 당황스러웠다.사전 지식이 없었기에, 북부에서 흑인들이 자유인으로 살았다는 사실 조차도 모르고 있었기 ..

Movie 2014.03.11

민주주의 좌파, 철수와 원순을 논하다 - 조희연(2012)

조희연...솔직히 난 성공회대에 들어오기 전까지 그 이름을 몰랐다. 워낙 이쪽 분야를 몰랐기도 했고,조희연 교수가 전면에 나서서 대중적으로 활동해온 사람은 아니였던 것같다. 근데, 이 쪽 바닥에 오래있던 사람들은,성공회대 다닌다고 하면 다들 조희연 교수 수업은 들어봤냐고 물어본다. 그 사람들은 한결같이 이야기했다."참여연대는 조희연의 브레인과 박원순의 실행력이 만난 결과이다." 무슨 대단한 사람인가 찾아봤더니, 성공회대 사회학과 교수이고 NGO대학원장이였다.진보 색깔로 유명한 성공회대에서도 간판이라고 불리는 학자였다.하지만, 그럼에도 불구하고 정치권의 색깔 논쟁에서는 크게 주목받은 적은 별로 없었다. 활발한 저술활동에 비해서 직접적으로 정치권에 발을 담그지 않았기에,아는 사람은 다 알지만 재야의 지식인이..

Books/정치/역사 2014.03.08

[한국현대사의 이해 ①] 한국사회의 특징 - 한홍구 (2014)

달변가이신 한홍구 선생님의 깨알같은 강의...혼자 듣기 너무 아까워서 매주 수업이 끝나면 간단하게 요약해서 소감을 같이 정리해보고자 한다. 완강까지 모두 정리할 수 있을지 모르지만... Anyway 할 때까지는 해봐야지~~ ^^ 첫 강의는 오리엔테이션으로 한국 사회의 특징을 4가지 정도 정리하셨다. 뭐 사전에 준비하신 것인지 잘 모르겠지만,그냥 막 생각나는대로 말씀하시는 것 같은데 한마디 한마디가 진짜 주옥같다~ ^^ 1. 단일민족 조선시대까지만 해도누가 우리는 같은 단군의 자손이라고 말했으면, 불경한 이야기였다. 단군시조의 개념은 19세말 20세기초에 들어와서 생겨난 근대적 민족 관념이다.물론, 단일 민족이라는 말이 나올만큼 동일성이 존재했던 것은 사실이라고 한다. 하지만, 갑자기 단일 민족의 논의가 ..

Books/정치/역사 2014.03.05

Open Space Technology (OST) - Harrison Owen (1997)

OST라고 하면, 사람들은 Original Sound Track을 먼저 떠올린다.OST(Open Space Technology)는 아직까지 대중에게 많이 알려진 방법은 아니기 때문이다. OST는 Harrion Owen이라는 경영컨설턴트가 처음 제시했다.1983년 제2회 조직 변혁에 대한 국제 컨퍼런스를 진행했던 Owen은 매우 흥미로운 사후 평가를 받게된다. '컨퍼런스 내용 중에 가장 만족했던 강의나 시간은?'이라는 질문에,사람들에게 가장 인기가 있던 것은 다름 아닌 coffee break 였다. 유명한 강사들의 강연보다도, 자신이 관심있는 사람과 관심있는 대화를 나눈 순간이 가장 만족스럽다는 것이다. 이에 착안한 오웬은 자신이 경험했던 아프리카의 부족회의 모습을 떠올리게 된다. 평소에 흩어져 살던 부족..

평신도들의 대화 (불교, 천주교, 개신교) - 새길교회 (2014)

3대 종단의 성직자 간의 만남도 보기 힘든데...평신도들의 만남이라는 부분이 너무나 신선했다. 과연 이들이 무슨 이야기를 할 것인가?이들의 이야기에 과연 누가 귀를 기울인다는 말인가? 근데, 어느새 나도 편견에 사로잡혀 있었다는 사실을 알고 있었다.'종교 = 성직자' 라는 공식은 어떻게 보면 오늘날 종교들의 문제점의 출발점이 된 것 같다. + 3명의 내공은 장난이 아니였다.난다긴다하는 성직자들조차 따라오기 힘들정도의 내공을 가진 분들이지만,이들은 엄연히 성직자가 아니기에 이들의 목소리는 one of them에 불과하다. 그렇지만, 이들이 이야기한 부분들은 반드시 모든 종교인들이 기억해야하는 부분이다.그리고 가장 흥미로웠던 점은 3대 종단의 문제인식이 유사한 것을 넘어서 너무나 똑같다는 사실이다. 조성택 ..

Christianity 2014.03.03

다른 길 - 박노해 사진에세이 (2014)

1980년대를 대표하는 민중시인 박노해...자유의 몸이 된지 15년이 지난 그는 이제 사진에세이 작가가 되어 돌아왔다. 사진을 제대로 배워본적 없던 박노해는출소이후 구형 35mm 렌즈를 장착한 라이카 사진기를 가지고 다니면서 사진을 찍었다. '과거를 팔아 오늘을 살 수 없다'며 국가 보상금도 거부하고,정치쪽에서의 러브콜도 거부한 체, 그는 반전 인권 운동가의 삶을 살기 시작했다. 그의 삶의 기록들은 사진과 글로 남겨졌고,드디어 그 사진과 에세이가 만나 색다른 사진전을 열게 된 것이다. 전시회가 막판에 몰려서 그런지,박노해 시인의 사인회가 있는 시간대서 그런지 사람이 너무 많았다. 30분 정도 대기해서 들어갈 정도로 붐비었지만,그래도 굉장히 안정된 분위기에서 전시회를 관람할 수 있었다. 전체적으로 모든 벽..

Books/문화/예술 2014.03.02

[Bunker1특강] 강헌의 전복과 반전의 순간 Episode 01 - Rock'n'Roll

1부에서 강헌 선생은마이너리티에 불과했던 재즈라는 흑인 음악이 어떻게 세계 대중음악의 출발점이 되었는지를 자세히 설명하였다. 강헌의 마이너리티의 예술선언 1부 (Jazz) < 관련 포스트 보기 그러면서 2부에서는마이너리티에 불과했던 10대가 어떻게세계 대중음악을 주도하는 주인공이 되었는지를 잘 설명해주고 있다. 벙커1특강 듣기 - 강헌의 전복과 반전의 순간 : EP.01 마이너리티의 예술 선언 2 (Rock'n'Roll) 이 번 포스팅 역시 강의 내용이 너무나 주옥같아서,강헌 선생님의 강의 내용을 중심으로 미약하나마 가지고 있던 지식을 첨가해서 정리하고자 한다. 다시 정리하면서 느낀 것이지만,진짜 강헌 선생님의 강의 내용은 대박인 듯 ~~ Blues에 Soul이 있고,Jazz에 Swing이 있고,Hiph..